coding study/Algorithm 24

[python] 백준 2577번

문제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 × B ×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A × B ×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 B × 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python] 백준 1260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

[python] 구현 - 1004번

문제 어린 왕자는 소혹성 B-664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한 송이 장미를 위해 살아간다. 어느 날 장미가 위험에 빠지게 된 것을 알게 된 어린 왕자는, 장미를 구하기 위해 은하수를 따라 긴 여행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린 왕자의 우주선은 그렇게 좋지 않아서 행성계 간의 이동을 최대한 피해서 여행해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어린 왕자가 펼쳐본 은하수 지도의 일부이다. 빨간 실선은 어린 왕자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도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최소화하는 경로이며, 원은 행성계의 경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지만 적어도 3번의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은하수 지도, 출발점, 도착점이 주어졌을 때 어린 왕자에게 필요한 최소의 행성..

[python] 그리디 - 백준 11047

문제 준규가 가지고 있는 동전은 총 N종류이고, 각각의 동전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동전을 적절히 사용해서 그 가치의 합을 K로 만들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동전 개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주어진다. (1 ≤ N ≤ 10, 1 ≤ K ≤ 100,0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동전의 가치 Ai가 오름차순으로 주어진다. (1 ≤ Ai ≤ 1,000,000, A1 = 1, i ≥ 2인 경우에 Ai는 Ai-1의 배수) 출력 첫째 줄에 K원을 만드는데 필요한 동전 개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n,k = map(int,input().split()) money_type=[] for i in range(n): money_type.append(int(input(..

[python] 그리디 - 숫자 카드 게임

[문제] 숫자가 쓰인 카드들이 NxM 형태로 놓여 있다. 이때 N은 행의 개수 , M은 열의 개수를 의미한다. 먼저 뽑고자 하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행"을 선택한다. 그 다음에 선택된 행에서 포함된 카드들 중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아야 한다. 따라서 처음에 카드를 골라낼 행을 선택할 때, 이후에 해당 행에서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을 것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숫자 카드들이 놓인 행의 개수 N과 열의 개수 M이 공백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자연수로 주어진다.(1

[python] 그리디 - 큰 수의 법칙

[문제] 큰 수의 법칙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법칙이다. 단,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을 초과하여 더해질 수 없는 것이 이 법칙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3,4,3,4,3,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7이고, K가 2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두 번째 원소에 해당하는 4와 네 번째 원소에 해당하는 4를 번갈아 두 번씩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4+4+4+4+4+4+4인 28이 도출된다. 배열의 크기 N, 숫자가 더해지는 횟수 M, 그리고 K가 주어질 때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2

[python] 그리디 - 거스름돈

그리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은 탐욕법 알고리즘이라고도 한다. 이는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을 말한다. 기준에 따라 좋은 것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므로 문제에서 예를 들어 '가장 큰 순서대로', '가장 작은 순서대로'와 같은 기준을 알게 모르게 제시해주는데 잘 캐치해야한다. [문제] 카운터에는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 줘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를 하라. 단, 거슬러줘야 할 돈 N은 항상 10의 배수이다. [문제 해설] "가장 큰 화폐 단위부터" 돈을 거슬러 주는 것이므로 그리디 알고리즘을 이용해 풀이한다. 500원 -> 100원 -> 50원 -> 10원 순으로 거..

[CodeUp] 기초100제 - 6088번

[문제 설명]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sequences)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 4 7 10 13 16 19 22 25 ... 은 1부터 시작해 이전에 만든 수에 3을 더해 다음 수를 만든 수열이다. 이러한 것을 수학에서는 앞뒤 수들의 차이가 같다고 하여 등차(차이가 같다의 한문 말) 수열이라고 한다. (등차수열 : arithmetic progression/sequence) 수열을 알게 된 영일이는 갑자기 궁금해졌다. "그럼.... 123번째 나오는 수는 뭘까?" 영일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더 큰 수도 자동으로 계산하고 싶어졌다. 시작 값(a), 등차(d),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입력될 때 n번째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시작 값(a), ..

[CodeUp] 기초100제 - 6086번

[문제 설명] 1, 2, 3 ... 을 순서대로 계속 더해 합을 만드는데, 그 합이 입력한 정수보다 작을 동안만 계속 더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즉, 1부터 n까지 정수를 하나씩 더해 합을 만드는데, 어디까지 더해야 입력한 수보다 같거나 커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 때 까지의 합을 출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57을 입력하면 1+2+3+...+8+9+10=55에서 그 다음 수인 11을 더해 66이 될 때, 그 값 66이 출력되어야 한다. [입력] 언제까지 합을 계산할 지, 정수 1개를 입력받는다. 단, 입력되는 자연수는 100,000,000이하이다. [출력] 1, 2, 3, 4, 5 ... 순서대로 계속 더해가다가, 그 합이 입력된 정수보다 커지거나 같아지는 경우, 그때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