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System_report

15. 컴퓨터시스템관리

computer engineering.초코나무쑵 2020. 6. 28. 22:47

2020.06.22 수업

 

* 새로 배운 내용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명령 연결

   제어 포트인 서버의 21번 포트로 사용자 인증, 명령을 위한 연결 생성, 여기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지시하는 명령어 전달

데이터 전송용 연결

   (능동 모드) : 서버가 자신의 데이터 포트인 20번 포트에서부터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지점으로의 데이터 연결 생성

                    클라이언트가 방화벽, NAT등을 사용할 경우 잘 작동이 안된다. -> 이때 수동 모드 사용!

   (수동 모드) : 클라이언트가 서버가 지정한 서버 포트로 연결할 수 있게 설정

 

방화벽(Firewall)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에 기반한, 들어오고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신뢰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와 신뢰할 수 없는 외부 네트워크간의 장벽 구성

 

 -> [정책 기반 방화벽]

    모두 차단 또는 모두 허용 / 특정 서버에서 오는 얼마 이상의 http 트래픽을 허용하고 로그 남기기

 - 1세대 방화벽 :

    패킷 단위 검사, 특정한 ip를 허용 또는 거부, 특정한 port를 허용 또는 거부

 - 2세대 방화벽:

    스테이트 폴, 세션 단위 검사

 - 3세대 방화벽:

   응용프로그램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는 방화벽, ip,MAC주소가 아닌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정책 수집

 

UFW(Uncomplicated FireWall)

  데비안 계열 및 다양한 리눅스 환경에서 작동되는 사용하기 쉬운 방화벽 관리 프로그램이며 사용하기 쉽게 설계된 넷필터 방화벽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 넷필터(netfilter)

    리눅스 커널모듈로 네트워크 패킷을 처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NAT, Packet filtering, Packedt mangling

   (ex : ufw enable /disable /status , ufw allow 80 / ufw allow http)

 

FileZilla

  FTP소프트웨어(서버/클라이언트) 이며 오픈소스 크로스 플랫폼의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Iptables

  시스템 관리자가 리눅스 커널 방화벽이 제공하는 테이블들과 그것을 저장하는 체인, 규칙들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공간 응용 프로그램 , 넷필터에서 제공하는 5개의 hook 지점

 

[방화벽 구축하며 사용했던 명령어 설명]

PREROUTING : 인터페이스를 통해 들어온 패킷을 가장 먼저 처리, 목적지 주소의 변경

INPUT :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컬 프로세스로 들어오는 패킷 처리

OUTPUT : 해당 프로세스에서 처리한 패킷을 밖으로 내보내는 패킷에 대한 처리

FORWARD : 다른 호스트로 통과시켜 보낼 패킷에 대한 처리, 방화벽 등 지나가는 패킷 처리

POSTROUTING :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갈 패킷에 대한 처리, 출발지 주소의 변경

 

 

 

 

*문제 발생 및 해결과정 

 

[문제 발생은 없었다.]

1. 웹 서버 실습 : 방화벽 컴퓨터 구현 결과 모습!!!

   Hostcomputer - 웹브라우저 - 192.168.75.204(server) 실행하기

이로써 외부 컴퓨터가 방화벽 서버의 공인 ip(1912.168.75.204)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때는 내부에 있는 server(b)가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고

 

1. 좋았던 점 - 아쉬웠던 점

ip주소를 가지고 외부/내부 네트워크 설정부터 방화벽 설정까지 배울 수 있어 좋았다.

전에 몇 번 실습 중  ufw disable등을 실행하면서 ufw에 궁금함이 많았는데 이번 실습을 통해서 방화벽 개념, 과정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마치 학교서버-학생서버의 입장에서 구축하는 느낌이었다!

또한 방화벽 정책 중 하나인 외부 컴퓨터가 방화벽 서버의 공인 ip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때 내부에 있는 server(b)가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 신기했고 직접 구축해보니 더 이해가 잘되었다.

하지만 ens32, ens35의 모든 패킷이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부분에서 오타가 자꾸 발생해서 실행에 있어서 시간이 오래걸려 애를 먹은 부분이 가장 아쉬웠다~!

 

2. 새로 알게된 점

 

ftp 의 연결 종류 ( 명령연결, 데이터 전송용 연결 : 능동 모드, 수동 모드 , 파일 송수신 모드 : text, binary)

FileZila : FTP 소프트웨어 이며 오픈소스 크로스 플랫폼의 자유 소프트웨어

방화벽 컴퓨터 :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에 기반한, 들어오고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 신뢰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와 신뢰할 수 없는 외부 네트워크간의 장벽 구성

iptables : 시스템 관리자가 리눅스 커널 방화벽이 제공하는 테이블들과 그것을 저장하는 체인, 규칙들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공간 응용 프로그램

ufw : 리눅스 환경에서 작동되는 사용하기 쉬운 방화벽 관리 프로그램

'ComputerSystem_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말고사_시스템 보고서 및 실습일지  (0) 2020.06.28
14. 컴퓨터 시스템 관리  (0) 2020.06.18
13. 컴퓨터 시스템 관리  (0) 2020.06.13
12 . 컴퓨터시스템관리  (0) 2020.06.02
11. 컴퓨터시스템관리  (0) 2020.05.28